맨위로가기

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현이다. 당나라 시대 보주를 전신으로 하며, 원나라 시대 오사로, 명나라 시대 오사위를 거쳐 1666년 위닝부로 개칭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1914년 위닝 현으로 개칭되었고, 1954년 민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었다. 동쪽을 제외한 3면이 윈난성과 접하며, 아열대 고원 기후를 보인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고속도로, 국도, 철도가 있으며, 웨이닝 차오하이 공항이 건설 중이다. 현재 4개의 가도, 30개의 진, 4개의 향, 1개의 민족향으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제시의 행정 구역 - 첸시시
    첸시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 비제 시에 위치한 현급 행정 구역으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고, 철도와 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 비제시의 행정 구역 - 나융현
    나융현은 중국 윈난성 란창 라후족 자치현 서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라후족을 포함한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온대 기후를 띠고 즈나오 선, 항루이 고속도로, 샤룽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 구이저우성의 자치현 - 싼두 수이족 자치현
    싼두 수이족 자치현은 구이저우성 첸난 부이족-먀오족 자치주에 위치한 수이족 자치현으로, 1957년에 설치되었으며 구이양-광저우 고속철도와 구이광 여객전용선의 싼두현역을 통해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 구이저우성의 자치현 - 인장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인장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에 위치하며, 아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고 화강암, 대리석, 옥대석을 생산하는 자치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후이족 자치지방 - 닝샤 후이족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로, 황하 상류에 위치하며 농업과 광물 자원이 발달했고, 후이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주요 도시로 인촨이 있고, 서하왕릉 등의 관광지가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후이족 자치지방 - 관청 후이족구
    관청 후이족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정저우시에 위치한 구로, Ao 유적, 정저우 상성 유적, 위퉁 산업 단지 등을 포함하며, 룽하이 철도 등이 지나간다.
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
원어 명칭 (중국어 간체)威宁彝族回族苗族自治县
원어 명칭 (아랍 문자)وِنٍْ یِذُو خُوِذُو مِیَوْذُو ذِجِشِیًا
유형자치현
위치중국 구이저우성 비제시
현 소재지하이볜 가도
면적9296km²
인구 (2020년)1,280,116명
우편 번호553100
시간대중국 표준시 (+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좌표26.8739° N, 104.2528° E
지도 위치구이저우성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코드522427

2. 역사

웨이닝 지역은 당나라 시대 기미주인 보주를 전신으로 한다. 원나라 시대에는 '''오사로'''가 설치되었고, 명나라 시대인 1382년에는 '''오사위'''가 설치되었다가 이후 오사부로 승격되었다. 청나라 시대인 1666년에는 '''위닝부'''로 개칭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인 1914년에 부(府) 제도가 폐지되면서 '''위닝 현'''으로 개칭되었고, 1954년 11월에 민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2. 1. 고대

웨이닝 지역은 당나라 시대에 설치된 기미주인 보주에서 시작되었다. 원나라 시대에는 '''오사로'''가 설치되었고, 이후 오사우멍선위사로 승격되었다. 명나라 시대인 1382년 (홍무 15년)에는 '''오사위'''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오사부로 승격되었다. 청나라 시대인 1666년 (강희 5년)에는 '''위닝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2. 2. 중세

당나라 시대에 설치된 기미주인 보주를 전신으로 한다. 원나라 시대에는 '''오사로'''가 설치되었고, 이후 오사우멍선위사로 승격되었다. 명나라 시대인 1382년 (홍무 15년)에는 '''오사위'''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오사부로 승격되었다. 청나라 시대인 1666년 (강희 5년)에는 '''위닝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3. 근대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부(府) 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1914년에 '''위닝 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이후 1954년 11월에 여러 민족이 함께 사는 지역임을 고려하여 민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어 오늘날에 이른다.[1]

2. 4. 현대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부제가 폐지됨에 따라 1914년 (민국 3년)에 '''위닝 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1954년 11월에는 민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3. 지리

웨이닝 현(威寧県|웨이닝 현중국어)은 구이저우성 북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을 제외한 3면이 윈난성과 접해 있다.

4. 행정 구역

웨이닝 이족 후이족 먀오족 자치현은 4개의 가도, 30개의 진, 4개의 향,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2] 각 행정 구역의 상세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조한다.

4. 1. 가도


  • 하이볜 가도(海边街道중국어)
  • 우리강 가도(五里岗街道중국어)
  • 류차오 가도(六桥街道중국어)
  • 샨차오 가도(陕桥街道중국어)[2]

4. 2. 진

웨이닝현에는 다음과 같은 30개의 진이 있다.[2]

  • 草海镇|차오하이진zho
  • 幺站镇|야오잔진zho
  • 金钟镇|진종진zho
  • 炉山镇|루산진zho
  • 龙场镇|롱창진zho
  • 黑石头镇|헤이스터우진zho
  • 哲觉镇|저줴진zho
  • 观风海镇|구안펑하이진zho
  • 牛棚镇|니우펑진zho
  • 迤那镇|이나진zho
  • 中水镇|중수이진zho
  • 龙街镇|롱제진zho
  • 雪山镇|쉐산진zho
  • 羊街镇|양제진zho
  • 小海镇|샤오하이진zho
  • 盐仓镇|옌창진zho
  • 东风镇|둥펑진zho
  • 二塘镇|얼탕진zho
  • 猴场镇|허우창진zho
  • 秀水镇|시우수이진zho
  • 双龙镇|솽롱진zho
  • 麻乍镇|마자진zho
  • 玉龙镇|위롱진zho
  • 兔街镇|투제진zho
  • 海拉镇|하이라진zho
  • 차허진(岔河镇|차허진zho)
  • 黑土河镇|헤이투허진zho
  • 金斗镇|진더우진zho
  • 哈喇河镇|하라허진zho
  • 斗古镇|더우구진zho

4. 3. 향

웨이닝 자치현에는 4개의 향이 있다.[2]

  • 스먼향(石门乡)
  • 윈구이향(云贵乡)
  • 반디향(板底乡)
  • 다제향(大街乡)

4. 4. 민족향

5. 기후

웨이닝은 아열대 고원 기후 (쾨펜 ''Cwb'')를 보인다.[3][4]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2.6°C에서 7월 18°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1.1°C이다.[3][4] 연간 강수량의 3분의 2 이상이 6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되는 특징이 있다.[5]

5. 1. 상세 기후 데이터 (1981-2010년 평균, 1971-2010년 극값)

웨이닝의 기후 데이터 (1981년~2010년 평균, 1971년~2010년 극값[3][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22.8°C24.3°C28.2°C28.7°C30.7°C31.5°C28.5°C28.6°C30°C25.1°C23.2°C21.6°C31.5°C
평균 최고 기온 (°C)8.8°C11.1°C15.3°C18.8°C20.3°C21°C22.2°C22.1°C19.4°C15.5°C12.9°C9.6°C16.4°C
일평균 기온 (°C)2.4°C4.5°C7.9°C11.8°C14.4°C16.3°C17.7°C17.4°C14.8°C11.1°C7.5°C3.7°C10.8°C
평균 최저 기온 (°C)-1.4°C0.4°C3.4°C7.3°C10.5°C13.3°C14.8°C14.4°C11.9°C8.4°C4.3°C0.1°C7.3°C
역대 최저 기온 (°C)-11.4°C-15.3°C-10°C-5.4°C0.1°C5.5°C6.9°C7.8°C3.1°C-3°C-6.3°C-12.2°C-15.3°C
평균 강수량 (mm)11.5mm10.4mm19.1mm39.2mm87.3mm173.7mm174.1mm144.3mm108mm63.4mm21.4mm7.1mm859.5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13.413.111.614.018.020.719.018.417.517.712.511.5187.4
평균 상대 습도 (%)79747171768282818286828079


6. 교통

웨이닝은 두샹 고속도로 (G7611)를 포함한 여러 고속도로와 국도 326호선 등 도로 교통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내장-류판수이 철로가 통과하며, 웨이닝 차오하이 공항이 건설 중에 있어 항공 교통 이용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6. 1. 도로

웨이닝 자치현은 두샹 고속도로(G7611), 웨이닝-쉬안웨이 고속도로, 비웨이 고속도로(S20), 국도 326호선 등 여러 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고속도로'''
  • * 위쿤 고속도로 (G85)
  • * 두샹 고속도로 (G7611)
  • * 비웨이 고속도로 (S20)
  • '''국도'''
  • * G213 국도
  • * G326 국도

6. 2. 철도

웨이닝은 내장-류판수이 철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 중국철로총공사가 운영하는 노선 중 웨이닝을 경유하는 주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 후쿤선
  • * (쿤밍 방면) - 파나콰이역 - 매화산역 - 포도정역 - (구이양 방면)
  • 네이쿤선
  • * (네이장 방면) - 화토포역 - 선수이역 - 이나역 - 라오궈창역 - 리쯔거우역 - 주가역 - 초해역 - 칭수이거우역 - 진중역 - 량수이징역 - 스야커우역 - 매화산역

6. 3. 항공

웨이닝 차오하이 공항이 건설 중이다.

참조

[1] 웹사이트 毕节市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第二号)——县(市、区)人口情况 https://www.bijie.go[...] Government of Bijie 2021-06-02
[2] 웹사이트 2023年统计用区划代码和城乡划分代码:威宁彝族回族苗族自治县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28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28
[5] 웹사이트 威宁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